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ko:k_ㅁ [2016/03/03 15:48]
127.0.0.1 바깥 편집
ko:k_ㅁ [2019/01/10 09:45] (현재)
sypark1
줄 24: 줄 24:
 \\ \\
 \\ \\
 +  * [[mag_card|마그네틱 카드]]: 자기 테이프의 자성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저장하는 카드. 카드 한쪽 면의 자기 테이프를 카드 단말기에 읽혀 데이터를 전송한다. 용량이 적고 제한된 종류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으며, 자석과 접촉하면 기록된 데이터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encryption|암호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아 출입통제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ic_card|IC 카드]]로 교체되는 추세이다.\\
  
   * [[master_device|마스터 장치]]: [[rs485|RS-485]]로 연결한 장치 중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 [[slave_device|슬레이브 장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호스트(Host) 장치라고도 부른다.\\   * [[master_device|마스터 장치]]: [[rs485|RS-485]]로 연결한 장치 중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 [[slave_device|슬레이브 장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호스트(Host) 장치라고도 부른다.\\
  
   * [[matching_timeout|매칭 타임아웃]]:​ 장치 혹은 서버 매칭에 주어지는 제한 시간. 시간 내에 매칭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매칭이 실패된다.\\   * [[matching_timeout|매칭 타임아웃]]:​ 장치 혹은 서버 매칭에 주어지는 제한 시간. 시간 내에 매칭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매칭이 실패된다.\\
 +
 +  * [[man_trap|맨트랩]]:​ 부정 출입을 방지하고 비보안 영역과 보안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물리적 출입통제 시스템.\\
 +
 +  * [[multi_rfid|멀티 RFID 카드 기술]]: 125kHz, 13.56MHz와 같이 서로 다른 대역 주파수의 카드를 하나의 장치에서 읽을 수 있는 기술.\\
  
   * [[message_timeout|메시지 표시 타임아웃]]:​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때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   * [[message_timeout|메시지 표시 타임아웃]]:​ 사용자의 조작이 없을 때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
 +
 +  * [[monitoring|모니터링]]:​ 특정 목적을 위한 감시 활동.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에서 모니터링은 출입통제 및 사용자의 근태 이벤트를 확인하거나 장치 및 출입문, 구역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 [[model_number|모델 번호]]: 제조사가 [[device|장치]] 식별을 위해 부여한 고유 번호.\\   * [[model_number|모델 번호]]: 제조사가 [[device|장치]] 식별을 위해 부여한 고유 번호.\\
 +
 +  * [[mobile_card|모바일 카드]]: 사용자 및 [[credential|크리덴셜]]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에 저장하여 [[nfc|NFC]] 또는 [[ble|BLE]] 기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모바일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에 비해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카드 발급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 [[wlan|무선 랜]]: 무선 주파수(RF)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access_point|무선 접속 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서 WLAN 카드가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 [[wlan|무선 랜]]: 무선 주파수(RF)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access_point|무선 접속 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서 WLAN 카드가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 [[access_point|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의 줄임말. [[wlan|무선 랜]]을 설치하기 위한 중계 장치. 유선 랜을 통해 무선망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 [[access_point|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의 줄임말. [[wlan|무선 랜]]을 설치하기 위한 중계 장치. 유선 랜을 통해 무선망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
 +  * [[brute_attack|무작위 대입법]]:​ Brute-Force Attack(무차별 대입 공격)이라고도 하며, 암호를 풀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값을 무작위로 대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
 +
 +  * [[ups|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정전 등의 원인으로 주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일정 시간 동안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해 장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 통신, 방송, 의료 시설, 데이터 센터, 기간 시설과 같이 전원의 안정적 공급이 필수적인 시설에서 주로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