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인증: 사용자 자신이 자신임을 확인받는 인증 방법. 개인의 바이오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바이오 정보를 일대일로 비교하여 검증한다.
1:N 인증: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정보를 찾아내는 인증 방법. 개인의 바이오 정보와 등록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비교하여 식별하는 방식.
ACID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원자성(Atomic), 일관성(Consistent), 고립성(Isolated), 영속성(Durable)을 가져야하는 트랜잭선의 특성. 원자성은 더 이상 분류할 수 없는 작업 단위로써 트랜잭션 내에 모든 단계에서 모두 성공하거나 실패해야 하는 특성. 일관성은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안정된 상태에서 다른 안정된 상태로 가져가야 하는 특성. 고립성은 임의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다른 트랜잭션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되는 특성. 영속성은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구성될 수 있도록 로그를 드라이브에 유지해야 하는 특성.
Ad Hoc 네트워크: 기지국이나 엑세스 포인트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 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각각의 장치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각 장치들은 무선 인터페이스로 통신하지만, 라우팅 기능으로 무선 통신의 거리상 제약을 극복하며, 각 장치들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동적이고 자율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형성된다.
DHCP: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줄임말. TCP/IP 통신을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
DIP 스위치: 하드웨어 변경없이 사용자가 회로 기판상에서 기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On-Off 스위치.
Fail Safe Lock: 전원이 끊기면 안전 상태가 된다는 의미로, 화재 등으로 출입문에 공급되는 전원이 끊겼을 때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이 개방된다.
Fail Secure Lock: 전원이 끊기면 보안 상태가 된다는 의미로, 은행과 같이 보안이 중요한 사이트의 출입문 전원이 끊겼을 때 문이 잠긴다.
FastCGI: 웹 서버 응용 프로그램 언어인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GI)에서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중 CGI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여 속도를 향상시킨 웹 서버 플러그 인 프로그램.
HF 카드: 데이터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한 13.56MHz 대역의 전자식 카드로, 스마트 카드라고도 한다. 특정 리더만 읽기가 가능하도록 설정하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등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줄임말로, HTTP보다 보안이 강화된 형태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S에서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HTTP에 비해 뛰어난 보안성을 갖는다.
IC 카드: 반도체 기반의 집적 회로를 내장한 카드로, 스마트 카드라고도 한다. IC 카드는 데이터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며, 마그네틱 카드에 비해 저장 공간이 크고 내구성이 뛰어나 자석과 접촉해도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특정 규격의 리더와만 호환되도록 설정하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등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적용할 수 있어 보안성 및 기능성이 높다.
NC: Normally Closed의 줄임말. 보통의 상태에서는 릴레이가 닫혀 있으나 장치가 작동하면 열리는 동작. 초기에 릴레이가 닫혀 있기 때문에 연결된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NO: Normally Open의 줄임말. 보통의 상태에서는 릴레이가 열려 있으나 장치가 작동하면 닫히는 동작. 초기에 릴레이가 열려 있기 때문에 연결된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NVR(Network Video Record): 네트워크 상에 설치된 카메라나 비디오 장비를 이용해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영상을 녹화하거나 모니터링하고, 발생된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
OSDP(Open Supervised Device Protocol): 리더에서 컨트롤러로의 단방향 통신만 가능했던 Wiegand 인터페이스를 보완하여 개발된 RS-485 표준 프로토콜. 리더와 컨트롤러 간 양방향 통신 환경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바이오메트릭 데이터의 전송 또한 가능하다. 이 프로토콜을 지원할 경우 타사 장치간 연결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교체가 필요한 항목만 바꿔 사용할 수 있다.
PoE(Power over Ethernet):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 하나의 케이블을 이용해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와 확장이 간편하며, 배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과 같은 분산형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HTTP URI를 이용하여 정보의 자원을 표현하여,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 등)으로 행위를 표현한다.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줄임말로,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해 ID를 인식하고 식별하는 기술.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ID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RFID 리더로 판독하여 정보를 식별한다.
RFID 태그: 카드 등의 사물에 부착하여 사람이나 사물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 RFID 리더는 전파를 이용해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인식한다. RFID 태그는 일반적으로 소형 프로세서, 메모리, 소형 안테나,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며 읽기 및 쓰기 여부, 전지 내장 여부, RF(Radio Frequency)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한다.
RTE 버튼: Request To Exit의 약자로, 내부에서 출입문을 열기 위한 버튼이다. 이 버튼을 누르면 출입문이 열리며, 퇴실할 때 별도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출입문이나 구역에 사용할 수 있다.
RS-485: 홈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일종의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표준규격. RS-232는 전송속도가 낮고 전송거리가 짧은 반면, RS-485는 모든 장치가 같은 라인에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SSL: Secure Socket Layer의 줄임말로,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위해 사용하는 암호 규약을 의미한다.
TCP/IP: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 컴퓨터 간 통신 프로토콜이며 TCP와 IP를 조합한 것.
TLS: Transport Layer Security의 줄임말로,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가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위해 사용하는 암호 규약을 의미한다.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주파수가 300~3000MHz에 속하는 전자기파. 위성방송, 휴대전화 등의 이동 통신, 지상파 디지털 TV, 항공 무선, RFID 기술 등 다양한 통신 분야에서 사용한다. 높은 주파수로 인해 1~10cm의 짧은 파장을 가지며, 직진성이 강한 특징을 갖는다.
VoIP: IP(Internet Protocol)망을 기반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통신 기술.
Wiegand: 두 개의 신호선 DATA0, DATA1을 이용해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주로 출입 통제 장치의 리더와 컨트롤러 간의 통신 방식에 사용한다.
대역폭: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로, 헤르츠(Hz) 단위로 측정한다. 일정 시간 동안 전선 또는 다른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정보의 양. 주파수의 대역폭이 클수록 특정 시간 동안 더 많은 정보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더미 리더: 사용자 데이터 저장이나 판단은 수행하지 않으며, 얼굴, 지문 및 카드 등 크리덴셜 데이터를 읽어 컨트롤 장치로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장치.
데이지 체인: 데이지 체인이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장치들의 구성을 지칭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줄임말.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소프트웨어. 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컨택: 출입문 센서의 다른 말. 출입문의 현재 상태(닫힘/열림)를 확인하기 위한 자기 센서.
로컬 구역: 장치 간 RS-485 통신을 이용해 설정한 구역으로, 해당 구역의 마스터 역할을 서버가 아닌 마스터 장치가 수행한다.
릴레이: 전기 회로의 개폐를 다른 전기 회로의 전류, 전압, 주파수 등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어 기기.
마그네틱 카드: 자기 테이프의 자성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저장하는 카드. 카드 한쪽 면의 자기 테이프를 카드 단말기에 읽혀 데이터를 전송한다. 용량이 적고 제한된 종류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으며, 자석과 접촉하면 기록된 데이터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아 출입통제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IC 카드로 교체되는 추세이다.
마스터 장치: RS-485로 연결한 장치 중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 슬레이브 장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호스트(Host) 장치라고도 부른다.
매칭 타임아웃: 장치 혹은 서버 매칭에 주어지는 제한 시간. 시간 내에 매칭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매칭이 실패된다.
맨트랩: 부정 출입을 방지하고 비보안 영역과 보안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물리적 출입통제 시스템.
멀티 RFID 카드 기술: 125kHz, 13.56MHz와 같이 서로 다른 대역 주파수의 카드를 하나의 장치에서 읽을 수 있는 기술.
모바일 카드: 사용자 및 크리덴셜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에 저장하여 NFC 또는 BLE 기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모바일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에 비해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카드 발급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무선 랜: 무선 주파수(RF)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무선 접속 장치(AP)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서 WLAN 카드가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의 줄임말. 무선 랜을 설치하기 위한 중계 장치. 유선 랜을 통해 무선망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무작위 대입법: Brute-Force Attack(무차별 대입 공격)이라고도 하며, 암호를 풀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값을 무작위로 대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정전 등의 원인으로 주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일정 시간 동안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해 장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 통신, 방송, 의료 시설, 데이터 센터, 기간 시설과 같이 전원의 안정적 공급이 필수적인 시설에서 주로 사용한다.
바이오 (인식) 정보: 개인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개인이 가진 고유한 신체적, 행동적 특징을 갖는 정보로 지문, 서명, 정맥 패턴, 얼굴, 음성, 홍채, 유전자 등을 말한다.
바이오 인식: 사람의 신체적, 행동적 특징을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하고 분석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 생체 인식이라고도 한다.
바이오 인증: 개인의 바이오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의 바이오 인식 특징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
반도체식 지문 센서: 다수의 센서를 반도체 위에 배열하여 지문 정보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방수: 우천이나 침수 등으로 인해 장치에 액체가 스며들어 장치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공.
방화벽: 개인 및 조직의 PC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허가 받지 않은 외부인이 접근하여 정보를 유출하거나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 방화벽은 외부의 인터넷과 내부의 전용 네트워크의 경계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접근 시도를 정해진 접근 제어 목록에 따라 허용 또는 차단한다.
안티패스백: 출입 통제를 위한 구조적인 방법으로서 출입문 안쪽/바깥쪽에 출입 통제 장치를 설치하여 구역에 출입할 때 반드시 인증을 통해 출입해야하는 기능. 카드를 사용해 출입할 때 리더에 카드를 인식시키지 않고 앞사람을 따라 입실했다면 퇴실할 때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며, 안티 패스백 이벤트가 발생한다. 안티 패스백은 Hard APB와 Soft APB로 나뉜다. 안티 패스백 위반 시 Hard APB는 안티 패스백 이벤트를 생성하고 출입할 수 없으며, Soft APB는 안티 패스백 이벤트를 생성하고 출입이 가능하다.
얼굴 검출: 장치에서 사용자의 크리덴셜을 검증한 뒤 출입을 허가하기 전에 사용자의 얼굴도 함께 촬영하여 해당 이벤트와 얼굴 이미지도 함께 저장하는 기능. 얼굴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인증이 실패된다. 얼굴 이미지가 저장되었을 때 필요에 따라 이벤트 발생 시 기록된 사용자 아이디와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다른 서비스 플랫폼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기 위해 정의된 명세.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주로 파일 제어, 장 체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벤트: 사용자, 장치, 출입문 간에 발생하는 상호 작용. BioStar 서버에 로그로 기록되며 인증 성공 및 실패, 출입문 상태 변화, 경보, 알람 등이 있다.
이중 인증: 제한된 시간 안에 서로 다른 두 사람의 크리덴셜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인증 방식.
재시작: 장치 작동 중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가 발생하여 강제로 전원을 완전히 끈 뒤 다시 켜는 것.
저전력 블루투스(BLE): 약 10m 내외의 거리에서 2.4GHz 주파수를 이용해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술.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은 전력의 소모가 매우 적어 전력 공급이 제한되는 소형 장치에 주로 사용되며, 출입통제 분야에서도 모바일 ID 카드의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적합성 판단 엔진(CDE): 슈프리마의 지문 매칭 알고리즘의 절차 중 하나로, 지문 이미지를 처리하여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기 전에 먼저 올바른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접촉식 카드: 표면에 금색 또는 은색의 칩이 부착된 카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카드 단말기에 칩이 직접 접촉되도록 삽입해야 한다.
종단 저항: RS-485 데이지 체인의 종단에 위치한 장치에 연결하는 저항. 데이지 체인의 연결이 길어질수록 종단에서 신호 반사가 발생하여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데, 이 반사를 억제하고 좋은 신호 품질을 얻기 위해 데이지 체인 종단에 연결된 장치에 저항을 연결한다.
지능형 카드 리더: 사용자 정보, 출입 정보를 저장하고 입력된 크리덴셜을 인증하여 사용자 출입을 허가할 수 있는 장치.
카드 모드: 카드 소지자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카드 ID 모드와 템플릿 온 카드 모드, 2가지 방법이 있다. 카드 ID 모드는 카드에 저장된 카드 ID를 기준으로 장치 내에 저장된 사용자 ID와 지문 정보를 비교하는 반면, 템플릿 온 카드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지문과 카드 내의 지문 정보가 일치하는지 검사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한다.
카드 일련 번호 (CSN): Card Serial Number의 줄임말. 제조사가 부여한 카드의 고유 번호.
타인 수락률 (오인식률): FAR(False Acceptance Rate). 바이오 인식 시스템의 정확성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비등록자를 등록자로 잘못 인식할 확률.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조회나 갱신 조작 등으로 구성되는 처리의 기본 단위. 갱신에 의해 일시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묶어서 처리한다. 트랜잭션이 충족해야 하는 기술적 요건은 ACID 특성이 있다.
탬퍼: 장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써 외부 요인에 의해 장치가 설치된 브래킷에서 분리될 경우 경보가 울리거나 서버에 이벤트가 기록되게 설정할 수 있다.
테일게이팅: 부정 인증을 이용한 출입 방법의 하나로, 제한된 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이 앞 사람을 따라 진입하는 것. '2인 진입'이라고도 하며, 피키배킹(Piggybacking)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부정 출입 방법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테일게이팅은 의도를 가지지 않은 부정 출입을, 피기배킹은 의도를 가진 부정 출입을 의미한다.
템플릿: 바이오 특징을 추출한 후 부호화하여 저장한 데이터로서, 바이오 인식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바이오 샘플과 비교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됨.
피기배킹: 부정 인증을 이용한 출입 방법의 하나로, 제한된 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출입 권한을 가진 사람과 함께 진입하는 것. 'Piggybacking' 또는 'Piggyback'이라고도 하며, 테일게이팅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부정 출입 방법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피기배킹은 의도를 가진 부정 출입을, 테일게이팅은 의도를 가지지 않은 부정 출입을 의미한다.
항시 통과 카드: 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특정 지역에 접근할 수 있는 카드. 예를 들면, 이 카드를 소지한 사람은 일련의 보안(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
허용 시간: 근태 규칙에 대한 허용 시간. 예를 들어, 출근 시간을 9시로 설정하고 허용 시간을 10분으로 설정했을 때, 9시부터 9시 10분 사이에 출근할 경우 지각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협박 지문: 지문 등록 시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지정된 지문. 해당 지문으로 인증하면 로그에 협박 지문 인증으로 로그가 남고 관리자는 이 로그를 이용하여 별도의 알람 설정이 가능하다.
화재 경보 구역: 화재가 발생할 경우 모든 출입문 또는 엘리베이터가 개방되거나 잠기도록 설정한 구역.